홈으로
  • 프린트하기
[보전] 93.무주 명천마을 소나무숲
  • 작성자산림자원과 / 오태봉 / 042-481-4105
  • 조회104
·주요수종: 소나무
·면적: 3.5ha
·조림연도: 1950년대
·소유: 사유림(법인)
·유형: 보전
·개방여부: 개방
·관리기관: 무주군청 063)320-2466
·주소: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377-1
(NAVI: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원통사로 294(솔밭권역솔향기체험관))
★ 294 Wontongsa-ro, Anseong-myeon, Muju-gun, Jeollabuk-do
---------------------------------------------------------------------------------------------------------------------------------
무주 명천마을은 해발 500m 지대에 위치한 물 맑고 공기 깨끗한 산촌이다. ‘고요한 물소리 마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임진왜란 당시 전란을 피해 심산유곡 오지로 피난 와서 형성된 마을이라고 한다.

명천마을 입구에서 덕유산 자락까지 이어진 소나무숲은 북서풍을 막아주는 방풍림 역할을 한다.
기능적 역할을 넘어, 명천마을 소나무숲은 마을 사람들이 평화와 행복을 기원하는 민속적 신앙의 대상이었다.
이 소나무숲은 6·25전쟁 당시 소실되었는데, 마을 사람들이 다시 정성 들여 가꾸어 현재 3.5ha의 울창한 소나무 숲을 이루었다.
명천마을 소나무숲은 숲나이 60년이며, 넉넉하고 아늑하게 품어준다. 숲이 조밀하지 않아서 나무들끼리 경쟁하지 않고
자라며, 산책로와 캠핑 공간도 여유가 있다.

명천마을은 청정지역 소나무 마을의 특성을 인정받아 다양 한 도농 협력, 힐링휴양, 체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orean Red Pine Forest in Myeongcheon Village
294 Wontongsa-ro, Anseong-myeon, Muju-gun, Jeollabuk-do

The pine forest in Muju Myeongcheon Village is located in a mountain village
with very clear and clean water at an altitude of 500m. It is said that the village
was formed after people took refuge in a remote area to avoid wa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The pine forest in this village served as a
windbreak to block the northwest wind and was an object of folk religion to pray
for peace and happiness in the village. Most of the pine trees are 60 years old.
Under the theme of this pine tree, the village community operates projects such
as clean area tourism, ecotourism, vacation forest therapy, camping activities,
and sale of pure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in clean areas.
첨부파일
  • 무주 명천마을 소나무숲1.jpg [1.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34회)
  • 무주 명천마을 소나무숲2.jpg [1.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28회)
  • 무주 명천마을 소나무숲3.jpg [1.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22회)
  • 093 무주 명천마을 소나무숲 map.JPG [43.6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16회)
  •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 표지판 디자인.JPG [471.2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0회)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