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보전] 98.울릉 성인봉 원시숲
  • 작성자산림자원과 / 오태봉 / 042-481-4105
  • 조회85
·주요수종: 우산고로쇠·마가목·너도밤나무 등
·면적: 706ha
·조림연도: 천연림
·소유: 국유림(산림청)
·유형: 보전
·개방여부: 개방
·관리기관: 울릉국유림사업소 054)791-1252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산44-1 외 5필지
(NAVI: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80-1(등산로 입구))
★ 80-1, Na-ri, Buk-myeon, Ulleung-gun, Gyeongsangbuk-do
---------------------------------------------------------------------------------------------------------------------------------
울릉도 최고봉인 성인봉(983.6m) 북쪽에는 동서 너비 1.5㎞, 남북 너비 2㎞의 세모꼴 칼데라가 있다. 울릉도가 화산 폭발로 생성된 섬이라는 증거이다.
성인봉 주변에는 형제봉, 미륵봉, 나리봉 등 크고 작은 봉우리가 늘어서 있는데, 그중 나리봉은 성인봉 북동 방면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자리한다.
나리봉은 울릉도에서 유일한 평지인 나리분지를 둘러싸고 있다.
나리분지(동서 너비 1.5㎞, 남북 너비 2㎞, 해발 500m)에는 과거 울릉도 주민들의 고단한 생활상이 깃들어 있다.
과거 울릉도 주민들은 양식이 없어서 굶주림에 시달렸고, 이곳 분지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섬말나리 뿌리를 캐먹었다고 한다.
그래서 분지 이름도 ‘나리’이다.
나리분지에는 섬말나리 외에도 너도밤나무·섬단풍나무·마가목 등 활엽수 천연림이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나리분지의 숲길을 따라 걸으면 화사하게 꽃을 피운 울릉국화·섬 백리향(천연기념물 제52호) 군락지,
지하수가 솟아오른 용출소 샘, 돌에서 흘러나오는 신령수 약수 등과 만날 수 있다.
또 울릉도 개척민들의 생활 터전인 투막집(국가지정 민속자료 제256호)을 둘러보는 재미도 남다르다.

울릉도는 상대적으로 사람의 발길이 뜸해서 원시 상태의 숲과 생태계를 유지하는 곳이 많다.
성인봉 정상부 울릉성인봉원시숲(천연기념물 189호)에는 너도밤나무·우산고로쇠·회솔·섬피나무·솔송·섬잣나무 등이 서로 뒤섞여 독특한 생명력을
내뿜고 있다.
너도밤나무·우산고로쇠숲(가슴높이 지름 37cm, 높이 13m)과 우산고로쇠·너도밤나무숲(가슴높이 지름 48cm, 높이 14m)이 가장 너른 분포를 보인다.
또한 너도밤나무숲은 가슴높이 지름 33cm, 높이 14m, 섬피나무숲은 가슴높이 지름 47cm, 높이 16m, 우산고로쇠숲은 가슴높이 지름 30cm, 높이 16m의 웅장함으로 보는 이를 압도한다. 개중에는 가슴높이 지름
80cm∼130cm의 거목이 숲을 영험함으로 물들인다.

이 밖에도 울릉성인봉원시림은 섬말나리·섬노루귀·섬바디 등 희귀식물의 보물창고로,
2002년에 유전자원보호림(1,475㏊)으로 지정되었다. 울릉도 유전자원보호림은 원시림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
숲가꾸기 등의 인위적인 개입을 하지 않고 있다.
첨부파일
  • 울릉 성인봉 원시숲1.jpg [1.4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20회)
  • 울릉 성인봉 원시숲2.jpg [1.2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16회)
  • 울릉 성인봉 원시숲3.jpg [1.1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26회)
  • 098 울릉 성인봉 원시숲 map.JPG [45.2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14회)
  •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 표지판 디자인.JPG [471.2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0회)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